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 월 200으로 서울에서 생존 가능할까?
    경제와 교육 2025. 6. 27. 06:00

    요즘 많은 사람들이 “서울은 돈 없으면 살기 힘들다”고 말해요. 특히 물가가 계속 오르고, 월세나 전기요금 같은 고정비가 비싸지면서 “월 200만 원으로 도대체 어떻게 서울에서 살지?”라는 고민을 많이 해요.

    저도 그런 생각을 하다가 직접 한 달 동안 딱 200만 원만 가지고 서울에서 살아보기 실험을 했어요. 혼자 자취하면서 필요한 기본적인 지출만 하며 “정말 가능할까?”를 몸소 체험해 본 거예요. 지금부터 제가 어디에서 살았고, 무엇을 먹었고, 어떤 지출을 줄였는지 초등학생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자세히 설명해드릴게요 😊

     

    월 200으로 서울에서 생존 가능할까?

    🏡 거주 형태 – 공공임대주택 or 반지하 원룸

    제가 선택한 곳은 서울 관악구의 공공임대 행복주택이에요. 보증금은 2,000만 원, 월세는 18만 원이었어요.

    만약 공공임대가 어려운 경우, 반지하 원룸도 서울 외곽 지역(도봉, 중랑, 금천 등)에서는 월세 25~35만 원, 관리비 포함 40만 원 이하로 찾을 수 있어요.

    💬 월 200만 원 중 20만 원 내외가 주거비로 나간다고 가정하면 꽤 괜찮은 선택이에요.

    💡 고정비 내역 (1인 기준)

    항목 월 지출액
    월세 180,000원
    관리비+전기+가스 90,000원
    통신비(휴대폰+인터넷) 40,000원
    교통비(지하철/버스 정기권) 60,000원
    식비 300,000원
    기타 생필품 및 잡비 50,000원
    총합계 720,000원

    ✅ 이처럼 고정비가 약 70~75만 원이라면, 월 200만 원에서 약 130만 원이 남습니다.

    🥗 식비를 줄이면서 건강 챙기기

    서울에서 한 끼 외식을 하면 평균 9,000~13,000원이 들어요. 하지만 직접 밥을 해 먹으면 하루 식비를 5,000원 이내로 줄일 수 있어요.

    • 아침 – 바나나 + 삶은 계란 (1,000원)
    • 점심 – 도시락 싸기 or 편의점 할인 상품 (3,000원)
    • 저녁 – 집에서 볶음밥, 된장국 등 (2,000~3,000원)

    밀프렙(Meal Prep, 일주일 식사 미리 준비)시장 장보기 + 할인마트 조합을 활용하면 식비는 월 25~30만 원 수준으로 줄일 수 있어요.

    🧴 생필품과 문화비, 정말 없어도 될까?

    생활용품(치약, 휴지, 세제 등)은 1인 가구라면 한 달 2~3만 원 수준이면 충분해요.

    문화생활은 ‘완전히 줄이는 것’이 아니라 무료 또는 저렴한 옵션을 찾는 것이 핵심이에요!

    • 도서관 책 대여 + 영화 상영
    • 지자체 무료 강의
    • OTT 1인 플랜만 가입하거나 친구와 나눠쓰기

    ✅ 진짜 가능하긴 할까? 체험 후기

    제가 직접 월 200만 원만 가지고 살아보니 생존은 가능하지만, 여유롭지는 않다는 게 결론이에요.

    ✔️ 가능했던 이유:

    • 임대주택이나 저렴한 주거지를 활용
    • 외식 줄이고 도시락 또는 집밥 위주
    • 생필품 재활용 & 중고 거래 적극 활용
    • 불필요한 지출(술, 택시, 충동구매 등) 없앰

    ❗ 힘들었던 점:

    • 갑작스러운 병원비, 약값 등은 예상이 어려움
    • 친구들과 외식이나 모임 참석이 부담스러움
    • 예산 계획을 꼼꼼하게 세우지 않으면 초과하기 쉬움

    🧾 마무리하며

    서울에서 월 200으로 살 수 있는가? 결론은 “가능은 하지만 조건이 필요하다”입니다.

    • 공공임대 또는 저렴한 원룸 입주
    • 외식 대신 밀프렙, 반조리 식단
    • 정기지출 계획 세우고 현금 흐름 파악
    • 무료 문화생활, 공공자원 적극 활용

    ✔️ 특히 사회초년생, 청년 1인 가구에게는 유용한 기준선이 될 수 있어요.
    ✔️ 정부 주거지원제도(청년월세, 행복주택 등)도 적극 활용해보세요.

    📌 참고 자료

    • 통계청 2024년 1인 가구 평균 생활비 통계
    • SH 서울주택도시공사 행복주택 자료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인가구 복지 리포트
    • 서울청년포털 ‘청년주거 및 생활비 절약 가이드’
Designed by Tistory.